본문 바로가기
더 나은 생각

내 아들이 클 방향은 '이것'이다.

by liogaddu 2025. 4. 14.
반응형

우리는 지금까지 많은 물리적 발전을 거듭해 왔다.

걸어 다니다가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고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고

이젠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차가 직접 우리를 목적지로 데려다준다.

그뿐 아니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우린 더 많은 편의와 효율을 경험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의 마음 상태는 

우리의 인지 작용은

우리의 감정 상태는

엄청나게 발전하는 물리적 세계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

아니 우리는 그저 부모에게 받은 그대로

우리의 부모는 또 그 부모에게 받은 그대로를 답습할 뿐이다.

 

우리는 마음 작용에 대해 알지 못한다.

그래서 더 감정에 휩쓸리고 괴로워하고를 반복한다.

해결되지 않는 상태를 불안해하며 결국은 무속신앙에 의지한다.

 

우리는 내 미래는 내가 만들어간다고 배웠지만

글로만 읊었을 뿐 실제로는 믿지 않는다.

 

내가 이렇게 귀결되는 생각을 가지고 매일을 살아간다면

내 아이들도 그런 세계관을 자연스럽게 물려받아

불안이 물려오는 순간에는 무당을, 사주를, 타로를 각종 기복신앙을 떠돌게 된다.

그 결과는 자신의 인생을 다른 무엇에 걸고 살게 된다.

 

우연히 TV채널을 돌리다가 무당, 사주, 타로등의 직업을 가진 이들을 모아놓고 연애상대를 고르는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다.

내가 눈여겨본 부분은 이것이다.

흐름이 자신이 원하든 대로 되지 않자 그들 중 한 명은 자신의 미래에 대해 타로카드를 펼치고 점을 보기 시작했다.

내가 원하는 상대의 마음을 얻기 위해 행동을 하기보다 미래를 예견하는 점에 의지하고 있는 부분이 꽤 인상적이었다.

 

아주 작은 행동을 더하는 것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끄는 확실한 방법이다.

아주 작은 행동을 더하는 것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되지 않더라도 다른 방향을 찾아갈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다.

 

난 내 아들이 좋아하는 여자의 마음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점을 보는 것을 원치 않는다.

꽃을 한송이 사서 마음을 더 표현하길 바란다.

이렇게 더 작은 행동을 쌓아가서 큰 행동을 일으키는 사람으로 키우려면 

역시 엄마로서 그렇게 사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나와 결혼할 상대가 나와의 결혼을 사주나 타로를 보고 결정한다면

그와 결혼하고 싶은가?

 

최악이다..

반응형